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레메진세립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약 정보에 대해서 궁금해하셨던 분들은 꼼꼼하게 읽어보셔서 궁금증 해소해보시기 바랄게요.
약 정보에 대해 잘 알고 복용을 해야 약의 효과를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크레메진세립 정보 확인해보도록 하시죠!

크레메진세립 약품 정보
- 약품명: 크레메진세립
- 제조사: 에이치케이이노엔(주)
- 성분: 구형흡착탄 2g
효능효과
만성신부전 환자의 요독증 증상을 개선하고 투석 도입을 지연시키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만성신부전은 신장이 점진적으로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으로, 요독증은 신부전의 진행에 따라 체내에 축적되는 유해한 물질들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크레메진세립은 이러한 유해 물질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요독증 증상을 완화하고, 투석 시작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용법용량
크레메진세립의 권장 용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 3회, 1회 2그램(1포)입니다. 이 약은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 소화관 통과장애가 있는 환자: 이 약은 소화관에서의 배설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소화관 통과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작용 및 이상반응
크레메진세립의 임상시험 및 시판 후 조사에서 보고된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상시험에서의 이상반응
총 2,6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139명(5.31%)의 환자가 이상반응을 보고했습니다. 주된 이상반응은 소화기 증상으로, 변비, 식욕부진, 구역·구토, 복부팽만감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 피부
- 1% 미만: 소양감, 피부 발진
- 소화기
- 1~2%: 변비, 식욕부진, 오심·구토
- 1% 미만: 복부팽만감, 위중감, 복통, 설사
국내 시판 후 조사
국내에서 6년 동안 4,0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3.04%(122명/4,019명)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중 약물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2.56%(103명/4,019명)였습니다.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변비: 1.00%(40명/4,019명)
- 오심: 0.37%(15명/4,019명)
- 소화불량: 0.32%(13명/4,019명)
- 식욕부진: 0.20%(8명/4,019명)
- 구토, 가스팽만: 각 0.17%(7명/4,019명)
- 복부팽만: 0.15%(6명/4,019명)
- 기타: 가슴 쓰림, 설사, 위장관 질환, 체중감소, 여성회음통증, 복통, 삼킴곤란, 전신부종, 불면증, 두통, 어지러움, 가려움, 피부발진 등
중대한 유해사례 발현율은 0.15%(6명/4,019명)로, 간성 혼수, 패혈증, 요로 감염, 설사, 토혈, 발열, 알레르기, 비특이성 호흡기 폐색,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각 1건씩 보고되었습니다. 이 중 약물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02%(1명/4,019명)로 설사가 보고되었습니다.
장기 사용 시 이상반응
6개월 이상 크레메진세립을 투여한 644명을 대상으로 한 장기 사용 성적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 약물유해반응 발현율: 1.24%(8명/644명)
- 변비: 0.62%(4명/644명)
- 복부팽만: 0.31%(2명/644명)
- 소화불량, 두통, 피부발진: 각 0.16%(1명/644명)
이 중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은 소화불량, 두통, 피부발진이었으며, 중대한 유해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결론
크레메진세립은 에이치케이이노엔 전문 의약품으로 구형흡착탄 2g이 함유되어 있어, 만성신부전 환자의 요독증 증상을 개선하고 투석 도입을 지연시키는 데 효과적인 약물입니다. 하지만, 소화관 통과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된다고 하네요.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부작용 및 이상반응으로는 변비, 오심,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혹시라도 약을 투여하면서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와 빠르게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