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린큐액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약 정보에 대해서 궁금해하셨던 분들은 꼼꼼하게 읽어보셔서 궁금증 해소해보시기 바랄게요.
약 정보에 대해 잘 알고 복용을 해야 약의 효과를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그린큐액 정보 확인해보도록 하시죠!

그린큐액 약품 정보
- 약품명: 그린큐액
- 제조사: 동성제약(주)
- 성분: 돔페리돈 10.0mg
효능효과
그린큐액은 주로 오심(메스꺼움)과 구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킵니다.
용법용량
그린큐액의 권장 용법과 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성인 및 청소년 (12세 이상, 35kg 이상): 돔페리돈으로서 1회 10mg을 1일 3회 식전에 경구투여합니다. 레보도파 투여 시에는 1회 5mg을 투여합니다.
- 최대 용량: 1일 최대 복용량은 30mg입니다.
- 사용 기간: 일반적으로 1주일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그린큐액을 복용하기 전에 다음의 금기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 과민반응 환자: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위운동 촉진 위험 환자: 위장관출혈, 기계적 폐쇄증 또는 천공이 있는 환자에게는 위운동 촉진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 프로락틴분비종양 환자: 프로락틴선종 환자에게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강력한 CYP3A4 저해제 병용투여 환자: 특정 약물과 병용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QTc 간격 연장 약물 병용투여 환자: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과의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중등도 ~ 중증 간장애 환자: 간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임신 중이거나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 심장전도 간격 연장 환자: QTc 연장, 전해질 불균형, 심부전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 유당 불내성 환자: 유당 불내성,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습니다.
부작용 및 이상반응
임상시험자료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주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기계: 구강건조증(1.7%), 설사(0.4%)
- 정신계: 성욕소실(0.2%), 불안(0.1%)
- 신경계: 졸음(0.8%), 두통(0.6%)
- 피부 및 피하조직: 발진(0.2%), 가려움(0.1%)
- 생식기계 및 유방: 유즙분비과다(0.5%), 유방 통증(0.2%), 유방 누름통증(0.2%)
- 전신질환 및 투여부위 상태: 무력증(0.1%)
이 외에도 1일 80mg을 초과하거나 28일 이상 복용한 환자에서는 더 높은 비율의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가만못앉기, 유방분비물, 유방비대, 유방부기, 우울증, 과민증, 수유장애, 불규칙 월경 등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판 후 사례
시판 후 조사에서 보고된 추가적인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면역계: 아나필락시스 반응(매우 드물게)
- 정신계: 초조, 신경질(매우 드물게)
- 신경계: 어지러움, 추체외로장애, 경련(매우 드물게)
- 눈: 안구운동발작(빈도불명)
- 심장계: 심실부정맥, 급성 심장사, Torsades de Pointes, QTc 연장(빈도불명)
- 피부 및 피하조직: 맥관부종, 두드러기(매우 드물게)
- 신장 및 비뇨기계: 요저류(매우 드물게)
- 생식계 및 유방장애: 남성유방비대증, 무월경(드물게)
- 검사수치이상: 간기능검사 이상, 혈중 프로락틴 증가(매우 드물게)
추체외로장애는 주로 신생아와 영아에서 발생하며, 경련, 초조와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반응도 주로 영아나 소아에서 나타납니다.
국내 자발적 이상사례
국내 자발적 이상사례 보고자료(1989~2014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신 및 투여부위 이상: 부종
결론
그린큐액은 동성제약에서 제조된 일반 의약품으로 돔페리돈 10.0mg이 함유되어 있어, 오심과 구토를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약물입니다. 하지만,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위운동 촉진이 위험한 환자, 프로락틴분비종양 환자 등에게는 투여가 금지된다고 하네요.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부작용 및 이상반응으로는 구강건조증, 설사, 성욕소실, 불안, 졸음, 두통, 발진,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혹시라도 약을 투여하면서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와 빠르게 상담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