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라빌정5mg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약 정보에 대해서 궁금해하셨던 분들은 꼼꼼하게 읽어보셔서 궁금증 해소해보시기 바랄게요.
약 정보에 대해 잘 알고 복용을 해야 약의 효과를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아라빌정5mg 정보 확인해보도록 하시죠!

아라빌정5mg 약품 정보
- 약품명: 아라빌정5mg
- 제조사: (주)한국파마
- 성분: 아리피프라졸(미분화) 5.0mg
효능효과
- 조현병: 성인과 청소년(13-17세)에서 모두 사용되며, 증상 조절 및 유지요법에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양극성 장애: 성인 및 소아(10-17세)에서 조증 및 혼재 삽화 치료에 사용됩니다. 단독 및 보조요법 모두 가능합니다.
- 주요우울장애: 기존 항우울제로 효과가 부족한 환자에서 부가요법제로 사용됩니다.
- 자폐장애 관련 과민증: 소아(6-17세)에서 사용 가능하며, 공격성 등 과민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습니다.
- 뚜렛장애: 소아(6-18세)에서 틱 증상 완화에 사용됩니다.
용법용량
- 조현병: 성인 권장 초기용량은 1일 10~15mg, 2주 이내 증량 금지. 청소년은 2mg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증량.
- 양극성 장애: 성인 1일 15mg, 필요시 30mg까지 증량. 소아는 2mg에서 시작해 10mg까지 증량.
- 주요우울장애: 성인 2~5mg에서 시작, 1주 간격으로 5mg 이하 단위로 증량.
- 자폐장애/뚜렛장애: 소아는 1~2mg에서 시작, 내약성 및 반응에 따라 점진적 증량.
특이사항: CYP2D6, CYP3A4 대사 관련 약물과 병용 시 용량 조절 필요.
사용상 주의사항

- 금기
- 아리피프라졸 또는 성분에 과민증 환자
- 유당 함유 제제이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환자
- 특이사항
- 장기 투여 시 자살 증상, 성장 및 발달, 인지·행동 변화에 대해 정기적 모니터링 필요
1) 이 약은 이 약물에 과민증이 있다고 알려진 환자에는 금기입니다. 반응은 가려움증 및 두드러기로부터 과민반응까지 다양합니다.
2)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면 안 됩니다.(유당 함유 제제에 한함)
부작용 및 이상반응
성인 임상시험에서 흔한 이상반응(10% 이상)
- 오심, 구토, 변비, 두통, 어지러움, 정좌불능증, 불안, 불면증, 안절부절
소아 임상시험에서 흔한 이상반응(10% 이상)
- 추체외로장애, 두통, 오심/구토, 졸림, 피로, 식욕증가, 불면증, 비인두염, 체중증가
기타 드물거나 주의가 필요한 이상반응
- 혈액계(백혈구/혈소판 감소), 심혈관계(서맥, 심근경색 등), 간기능 이상, 내분비/대사 이상(당뇨, 고혈당 등), 신경계(파킨슨증, 지연성 운동이상증, 대발작 등), 정신계(자살생각, 공격성, 망상 등), 피부(발진, 두드러기 등), 비뇨생식계(발기장애, 무월경 등)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됨.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 조현병 환자: 이상사례 3.58%, 주요 부작용은 정좌불능증, 불면증, 추체외로장애, 초조, 오심, 두통 등.
- 양극성 장애 환자: 이상사례 5.33%, 정좌불능증, 불면증, 졸림, 추체외로장애, 떨림, 어지러움 등.
- 뚜렛장애 소아: 이상사례 7.72%, 중대한 이상사례는 드물게 보고됨.
특이하게 많이 보고된 국내 이상사례
근골격계(등통증), 호흡기계(코피), 눈(건성안), 생식기계(사정장애), 신경계(목경직, 혀마비), 정신계(정신증, 망상, 무감동)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고됨.
임상적 주의사항 및 모니터링
- 장기 복용 시: 성장, 성숙, 인지 및 행동 발달, 자살 증상 등 장기 안전성 미확립. 정기적 모니터링 필요.
- 약물 전환 시: 기존 항정신병약은 서서히 감량, 중복투여 최소화.
- 특정 대사효소(CYP2D6/3A4) 관련 약물 병용 시: 용량 조절 필수.
결론
아라빌정 5mg(아리피프라졸)은 다양한 정신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적응증에 따라 용량 및 투여 방법이 다르며, 장기 복용 시에는 부작용 및 이상반응에 대한 정기적 평가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국내외 임상 및 시판 후 조사에서 보고된 다양한 이상반응을 고려해, 환자 개별 특성에 맞는 신중한 처방과 관리가 요구됩니다.